국내에서 가장 흔한 기생충 감염, 간디스토마의 감염 경로, 증상, 치료 및 예방 방법을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.
간디스토마(간흡충)이란?
간디스토마는 담관(쓸개관)에 기생하는 기생충으로, 주로 감염된 민물고기를 생식할 때 인체에 감염됩니다.
간디스토마 감염은 만성화될 경우 담관염, 담석증, 심하면 담관암(담도암)까지 유발할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합니다.
감염 원인
1️⃣ 주요 감염 경로
- 감염된 민물고기(붕어, 잉어, 피라미 등)를 생식하거나 덜 익혀 먹을 때
- 감염자의 배설물이 하천으로 흘러들어가 다시 감염 순환
- 위생이 불량한 조리 환경에서 교차 감염
2️⃣ 감염 위험이 높은 지역
국내에서 간디스토마 감염이 많이 발생하는 지역은 다음과 같습니다.
- 낙동강, 금강, 영산강, 섬진강 유역
- 민물고기 섭취가 많은 지역
감염 증상
🔸 급성 감염 (초기 증상)
- 소화 불량, 복통
- 식욕 저하, 설사
- 오른쪽 윗배 통증
🔸 만성 감염 (장기 감염 시)
- 담관염, 담석증 발생
- 담즙 정체로 인한 황달
- 간 조직 손상 및 간경화
- 장기간 감염 시 담관암(담도암) 위험 증가
치료 방법
치료제: 프라지콴텔(Praziquantel)
- 프라지콴텔(Praziquantel) 하루 3회, 2일간 복용
- 기생충을 마비시켜 자연 배출을 유도
- 간 기능 검사를 통해 후속 조치 필요
✅ 치료 후 관리
- 담관 및 간 상태 정기 검사
- 담석증, 간경화가 발생했을 경우 추가 치료 필요
예방 방법
✅ 1. 민물고기 생식 금지
- 생선회(민물고기), 덜 익힌 생선 요리 섭취 금지
- 특히 감염 위험이 높은 붕어, 잉어, 피라미 섭취 주의
✅ 2. 충분한 가열 조리
- 생선은 섭씨 70°C 이상에서 5분 이상 가열
- 칼·도마는 생선용과 일반 음식용을 분리
✅ 3. 철저한 위생 관리
- 손 씻기 습관화
- 감염자의 배설물이 하천을 오염시키지 않도록 위생 관리
✅ 4. 정기적인 구충제 복용
- 민물고기를 섭취한 경험이 있다면 6개월~1년에 한 번 구충제 복용
- 프라지콴텔 복용으로 예방 가능
'건강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액서사이즈 스낵킹을 아시나요? (잠깐 하는 운동의 엄청난 효과) (0) | 2025.03.28 |
---|---|
홈트레이닝 운동 루틴(초보자를 위한 효과적인 다이어트 플랜) (0) | 2025.03.27 |
수면무호흡증 원인부터 치료까지 (이제 편히 잘 수 있어요) (0) | 2025.03.24 |
당뇨의 원인과 치료, 예방방법 (당뇨를 이겨내는 힘입니다.) (0) | 2025.03.24 |
어린이 충치 단계를 쉽게 알아보는 방법 (어린이, 충치, 단계) (0) | 2025.03.22 |